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실천문학사
- 시집
- 시읽기
- 내일을 여는 작가
- 여행
- 삶창
- 허연
- 시
- 장석주
- 사랑의 근력
- 서귀포항
- 허은실
- 우리는 매일 헤어지는 중입니다
- 김소연
- 시인시각
- 우리는매일헤어지는중입니다
- 문장웹진
- 삶이보이는창
- 불량 젤리
- 양평
- 김은경
- 실천문학
- 김은경시인
- 중미산자연휴양림
- 시인
- 김안녕
- 심보선
- 걷는사람
- 가을여행
- 김안녕 시인
- Today
- Total
수평선다방의 빨간 詩
에릭 파이, 『야간열차』 본문
야간열차 안에선 그렇듯 순간적이고 덧없는 일들이 미세하게 다른 모습으로 끊임없이 되풀이되곤 했다. 떠나온 역에 대한 기억은 반 이상 지워졌지만, 다가오는 역에 대해선 통 짐작도 할 수 없는 상태. 벵골어로는 ‘어제’와 ‘내일’을 가리키는 말이 똑같다더니, 철로 위에선 현재가 과거나 미래와 똑같은 간격으로 끊임없이 나타나고 사라진다. (12쪽)
과학자들이 과학에 문외한인 사람들이나 어린이들에게 특수상대성이론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드는 예는 아마 폴 랑주뱅(Paul Langevin)의 ‘쌍둥이 형제 패러독스’일 것이다. 가령 쌍둥이 형제 중 한 사람만 열차로 여행을 떠나고 나머지 한 사람은 플랫폼에 남는다고 가정할 때,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사람이 가만히 있었던 사람보다 아주 조금이나마 덜 늙어 있다는 것이 쌍둥이 형제 패러독스의 내용이다. 떠나는 건 자신을 죽이는 거라고? 상대성이론은 이 케케묵은 속담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떠나는 건 자신을 살리는, 즉 조금 더 오래 살게 하는 것이라고. 여행을 즐기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시간관념이 다르다고 말하는 건 결코 과장이 아니다. 특히 열차 여행, 그것도 야간열차 여행을 즐기는 사람의 인생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서 한층 더 길어질 수밖에 없다. 철도는 요즘 세상에 몇 안 되는 특별한 순찰로, 시간의 틈새를 살펴볼 수 있는 순찰로니까. (38쪽)
경계라는 건 내게 증오를 불러일으키는 대상인 동시에 나를 매혹하는 그 무엇이라는 걸. 그 경계가 넘기 힘든 것일수록 그 매력은, 이성을 마비시키는 힘은 더 강해진다. 나는 수많은 목숨을 앗아간 경계가 처형되는 장면을 보러 갔다. 하지만 경계를 넘으려던 사람들이 총살당하던 바로 그 현장에 서 있으면서도(게다가 그들 중 몇몇의 시신은 채 식지도 않았는데) 나는 역사의 비극성 같은 건 조금도 느낄 수 없었다. 어쩔 수 없었다. ‘베를린 장벽’이라는 건 내 마음속에서 뭔가 ‘시적인 것’으로 승화되어 있었던 것이다. 봉쇄된 거리며 창문이며 초토화된 ‘황무지’와 함께 탈출하고픈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탈출의 신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그것을 넘으려고 기를 쓰는 한 삶은 어마어마하게 소중한 것이니까. (137쪽)
“시베리아 횡단은 한편으로는 지루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찬란한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는 특이한 경험이다. 열차는 하루 종일 기적 소리도 요란하게 자작나무 숲과 언덕을 가로지른다. 어둠이 내린 후에도, 그리고 그 후에도. 나중에는 한없이 펼쳐진 자작나무 무늬 벽지를 보고 있다는 착각이 들 지경이다. 똑같은 무늬가 계속 이어지는 벽지, 결코 그림이라고 생각할 수 없는 벽지를.”(폴 서로우의 『철마를 타고(Riding The Iron Rooster)』의 일부분) 시오랑은 지루하다는 건 “시간을 씹는 것”이라고 했다. 그때만큼 시간을 이가 얼얼하도록 씹어본 적도 없는 것 같다. (210쪽)
- 에릭 파이, 『야간열차』(푸른숲, 2007)
'밑줄 긋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행숙의 편지, '다섯 살의 영혼' (0) | 2010.06.22 |
---|---|
수경 스님, 다시 길을 떠나며 (0) | 2010.06.15 |
산문집『한창훈의 향연』 (0) | 2010.01.11 |
김소연 시집『눈물이라는 뼈』 (0) | 2010.01.02 |
손세실리아, "상처를 가지고 놀기" (0) | 200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