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내일을 여는 작가
- 김안녕
- 심보선
- 서귀포항
- 실천문학사
- 시
- 가을여행
- 장석주
- 걷는사람
- 우리는매일헤어지는중입니다
- 김은경시인
- 사랑의 근력
- 삶이보이는창
- 김안녕 시인
- 문장웹진
- 시인시각
- 김소연
- 김은경
- 중미산자연휴양림
- 시인
- 불량 젤리
- 허연
- 여행
- 시집
- 우리는 매일 헤어지는 중입니다
- 시읽기
- 실천문학
- 양평
- 허은실
- 삶창
- Today
- Total
목록2025/04 (4)
수평선다방의 빨간 詩

망각 곡선* 김 안 녕 1.공깃돌을 가지고 놀다싫증이 나꿀꺽 삼켜 버렸지그게 뭔지도 모르고 2.테이크아웃 커피잔의 무늬는 오래전 우리가 걸었던 내성천 강물을 닮았다뱀의 흐느적거리는 몸체도 닮았다 위험하다는 것을 모르는 순간그것은 얼마나 아름다운지 성상세포종이라는 병명만큼 아득한 타지에서더 이상 고통 없이 천국으로 갈 수 있기를 기도해 달라는 너의 말이 귀울음처럼 들리고 누가 가르쳐 주지 않고도 맨 먼저 하는 것이 울음이었듯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맨 나중에 하게 되는 것이 기도라는 사실이끔찍해서나는 가장 뻔뻔한 배교자가 될 거야 무명 시인 나부랭이가 될 거야 술주정을 하지 절규하지 냉동고에 꽝꽝 얼려 두지 모든 거짓말 모든 고백을 3.얼어붙은 배춧잎 같은 얼굴..

주산(珠算)의 날들 김 안 녕 공깃돌을 세고콩알을 센다 핏방울을 세고알약을 세고불안을 세고흰 머리칼을 세고새를 세고눈물을 세고 빵을 센다 먹고 노동하며 셈해야 할 게 그런 것뿐이라면 타 버린 사랑이 남기고 간 잿더미는 도무지 셀 도리가 없다너와 나의 납골당은 이루 다 셀 수가 없다 물이 나올 때까지 샘을 파며밑장을 까며 술병을 센다남은 화투장을 센다 인생이 산 넘어 산 병원 다음 병원이라고 처음 일러 준 사람이 누구였더라 그렇지만 나는 사랑 다음 또 사랑을 하겠어,오금동 언덕길을 절하듯 오르며 마지막 별을 보는 사람 (《시와시학》 2025년 봄호)

무 하 상 욱 시골집 텃밭에 쭈그려 앉아 무를 뽑았다희고 투실투실한 무였다너희들 나눠 주고도 이걸 다 어떻게 하냐시장에 나가서라도 팔아 볼거나어머니는 뜻하지 않은 욕심이 생겼다머릿속을 텅 비게 해 주는 무였다손이 부지런히 움직였고 마음은 쉬었다 뽑아낸 자리마다 근심을 묻었다이 무를 숭숭 썰어 넣고 국을 끓이면 얼마나 시원하려나내 근심 묻은 자리마다 무가 다시 자라날 것을어머니도 알고 나도 알았다애초에 어머니도 무였고 나도 무였으니그러니 걱정할 게 아무것도 없었다 (『달나라 청소』, 파란, 2025)

청춘 장 수 진 소년은 첨벙첨벙 물놀이를 한다매끄럽게 가라앉고 물 밖으로 솟아오른다웃는 얼굴이다우는 얼굴이다스포츠머리를 하고신경과에서 뇌파검사를 받기도 하고사랑사랑은 한 적이 없었다사랑은 병원보다 비쌌고흔들의자에 앉아 발장구를 친다질 좋은 재킷을 입고 앉아 있는 사내를자신을누군가 잘 그려 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밤이면 강가를 따라 달리며미용실 예약을 떠올렸고자신의 생이 그리 짧지 않다고 여기며강 너머로 내달렸다주인에게 등을 돌리고 서 있는큰 개 한마리를 바라보며개도 없을 인생다짐을 했다 저 비둘기들을 사랑해야지 감정을 사용하지 않으며끝까지 남는 비둘기 한 마리를슬쩍 차 버려야지, 놀래켜야지연약한 것이 얼마나 연약한지세상에 보여 줘야지, 적어도 두세 명은 보겠지비슷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