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삶이보이는창
- 김안녕
- 시읽기
- 우리는매일헤어지는중입니다
- 시
- 실천문학사
- 내일을 여는 작가
- 여행
- 문장웹진
- 심보선
- 실천문학
- 우리는 매일 헤어지는 중입니다
- 허은실
- 김안녕 시인
- 불량 젤리
- 김은경시인
- 장석주
- 가을여행
- 김은경
- 시인
- 걷는사람
- 중미산자연휴양림
- 시인시각
- 삶창
- 서귀포항
- 허연
- 양평
- 김소연
- 사랑의 근력
- 시집
Archives
- Today
- Total
수평선다방의 빨간 詩
존 버거,「시의 한때」 본문
시는, 비록 해설적인 경우에라도 소설과는 다르다. 소설은 승리와 패배로 끝나는 모든 종류의 싸움에 대한 것이다. 소설 속에서는 모든 것이 결과가 분명하게 드러나게 되는 끝을 향해 진행해 간다. 시는 그런 승리와 패배에는 관심이 없다. 시는 부상당한 이를 돌보면서, 또 승자의 환희와 두려움에 떠는 패자의 낮은 독백에 귀를 기울이면서, 싸움터를 가로질러 간다. 시는 일종의 평화를 가져다준다. 값싼 안심이나 마취에 의해서가 아닌, 일단 한번 경험된 것은 어떤 것이라도,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사라질 수 없다는 약속과 인식에 따른 평화이다. 그러나 그 약속은 기념비에 대한 약속이 아니다.(여전히 싸움터에 있으면서 누가 기념비를 바랄 수 있겠는가.) 언어야말로, 외치고 요구하는 그 경험들을 받아들이고 깃들이게 하는 안식처라는 사실에 대한 약속인 것이다.
_ 존 버거, 『그리고 사진처럼 덧없는 우리들의 얼굴, 내 가슴』 가운데 「시의 한때」에서.
'밑줄 긋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이듬 _ 금이 간 찻잔 같은 얼굴로 웃는다 (0) | 2013.05.15 |
---|---|
허소희 외, 종이배를 접는 시간 (0) | 2013.05.09 |
누구와 결별할 것인가 (0) | 2012.12.05 |
농부 철학자 피에르 라비 (0) | 2012.12.05 |
인권감수성을 깨우는 54개의 공감 _ 휴먼필 (0) | 2012.11.15 |